블룸버그 "1천300조원 넘는 국채 발행, 기준금리 0.25%p 인상 효과"

"대치 국면 미국 위상 깎아…안보 환경에도 악영향"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 합의 가능성이 커졌지만 타결되더라도 후폭풍이 만만치 않다는 전망이 월가에서 나오고 있다.

이미 경제 대국 미국의 위상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을 뿐 아니라 1조 달러(1천336조 원)가 넘는 국채가 발행되면 시중 유동성이 고갈될 것으로 우려된다는 것이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기업 위험 관리 기업 펜소어드바이서스를 창업한 아리 베르그만은 협상 타결 후 미 재무부가 의무적 지불 능력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줄어드는 현금 보유액을 서둘러 보충하기 위해 대규모 국채 발행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다.

국채 발행 규모는 올해 3분기 말까지 1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이럴 경우 은행 부문의 유동성은 빠르게 고갈되고 단기 자금 조달 금리를 올리며, 미국 경제도 타격을 받게 된다.

이런 대규모의 국채 발행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것과 같은 영향을 경제에 미친다는 게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분석이다.

베르그만은 "부채 한도가 해결될 때 매우 깊고 갑작스러운 유동성 고갈을 겪게 될 것"이라며 "이전에도 이런 유동성 감소가 주식 같은 위험 시장에 실제로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을 보았다"고 말했다.

국채 발행이 확대되면 미 재무부의 현금 잔고인 재무부일반계정(TGA)도 다시 채워지는데, 이 역시 유동성에는 악재로 작용한다.

재무부는 현재 약 950억 달러 수준인 TGA가 6월 말 5천500억 달러, 3개월 후에는 6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상업은행을 통해 단기 유동성을 흡수하는 수단인 현재 2조 달러대 규모의 역레포프로그램(RRP)도 위험 요인이다.

부채 한도를 둘러싼 정치권의 대치가 가져오는 무형의 대가 또한 만만치 않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미국 내 은행들의 잇단 파산, 글로벌 탈달러 기조 등과 함께 경제 대국 미국의 위상을 깎아내리고 있다는 것이다.

부채 한도 문제는 경제를 넘어 미국의 안보 환경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애브릴 헤인스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이달 초 청문회에서 중국이 미국의 국가 채무 불이행 우려를 이용하려고 하는 징후가 있느냐는 질문에 그런 정보는 없지만 "중국이 (채무 불이행을) 기회로 활용하려고 할 게 거의 확실하다"고 답했다.

anfour@yna.co.kr